00. 기본 개념 ▶︎ ORM(Object Relational Mapping) - 객체와 관계형데이터베이스 매핑, 객체가 테이블이 되도록 매핑시켜주는 프레임 워크 - 프로그램 복잡도를 줄이고 자바 객체와 쿼리를 분리할 수 있으며 트랜잭션 처리나 기타 데이터베이스 관련 작업들을 좀 더 편리하게 처리할 수 있는 방법 - SQL Query가 아닌 직관적인 코드(메서드)로서 데이터를 조작할 수 있다. : 기존쿼리( SELECT * FROM MEMBER;)를 ORM을 사용하면 member.findAll()이라는 메서드호출로 데이터 조회 가능 ▶︎ JPA(Java Persistence API) - 자바 ORM 기술에 대한 API 표준 명세, ORM을 사용하기 위한 표준 인터페이스 모아둔 것 - spring Boot..
SpringBoot 1. 경량 : spring 자체가 경량컨테이너로 만들어졌지만 현재는 많이 무거워져서 이부분을 보완하기 위해 등장 2. 내장 서버: tomcat을 따로 설치하지 않아도 내부적으로 사용이 가능 3. 의존성 자동관리 : 프로젝트를 만들때 dependency를 추가해서 만들수 있음 4. No XML : xml설정과정의 불편함을 느껴 자바로 관리할수 있도록 구성 ▷ spring.io -> project -> spring initializr -> 원하는 설정 후 generate -> 압출해제 후 maven existing projects로 import ▶︎ 이클립스에서 만들 경우 : Spring Starter Project로 만든다. ▶︎ SpringBoot에서는 jsp대신 thymeleaf를 ..
Spring JDBC 순서 5. pom.xml: spring-jdbc, ojdbc6(datanucleus) 6. web.xml: *.do, encodingFilter 7. src/main/resource/sqls/ - db.properties - jdbc.sql 00. 익명함수(Anonymous Functions) 함수의 이름이 없는 함수로, 공통적으로 일급객체(First Clss Citizen)라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일급객체란, 다른 객체에 적용가능한 연산을 모두 지원하는 개체를 가르킨다. 함수를 값으로 사용할 수 있으며 파라미터로 전달 및 변수에 대입하기와 같은 연산이 가능하다. ※ 자바 익명함수는 메소드를 하나만 가지고 있을 때 람다식으로 표현 가능하다. ▶︎ @FunctionalInterfac..
00. Validator - 스프링에서 범용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object 검증기를 정의할 수 있는 API ▷ support() : 검증기가 검증할 수 있는 object타입인지 확인해주는 메소드 ▷ validate() : target 객체에 대한 검증을 실행하는 메소드, 검증결과에 문제가 있을 경우에는 errors 객체에 에러정보 저장 package com.mvc.updown.validate; import org.springframework.stereotype.Component; import org.springframework.validation.Errors; import org.springframework.validation.Validator; //@Service도 가능 @Component pub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