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반응형
클래스와 메소드는 다룰 이야기가 많지만
시작하는 과정에서 알아두어야 할 클래스와 메소드의 기본적인 구조를 먼저 보자.
1) 접근제한자
- 메소드를 호출할 수 있는 범위를 알려준다.
2) 메모리 영역(static/ non-static)
- static : 클래스 전체에 적용 [ class.method(); ]
- non-static
3) 리턴 타입
- method를 호출하면 method안에 있는 명령들을 모두 수행한 후 가장 마지막에 리턴 되는 값의 타입
- 리턴 타입이 없으면 = void
4) 파라미터
: 외부에서 전달된 값을 내부에서 사용하기 위한 변수 * argument : 외부에서 전달되는 값
package com.test01;
public class MethodTest01 {
// class (설계도) : 기능(method), 속성
// 접근제한자 메모리영역 리턴타입 메소드이름(파라미터){명령; ...}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
//static method를 호출하는 방법 : Class.method();
MethodTest01.publicMethod();
MethodTest01.protectedMethod();
// 같은 클래스 내에 있는 메소드는 클래스명 없이 호출 가능
defaultMethod();
privateMethod();
}
// 접근제한자 : 메소드를 호출할 수 있는 범위를 알려준다.
// public
public static void publicMethod() {
System.out.println("public method");
System.out.println("->어디서나 접근, 참조 가능(+)");
}
// protected
protected static void protectedMethod() {
System.out.println("protected method");
System.out.println("->상속일 경우, 상속된 곳에서 (#)");
System.out.println("->상속이 아닐 경우, 같은 패키지 내에서");
}
// (default)
static void defaultMethod() { // 접근제한자에 아무것도 없으면 default 메소드!
System.out.println("default method");
System.out.println("->같은 패키지 내에서 (~)");
}
// (private)
private static void privateMethod() {
System.out.println("private method");
System.out.println("->현재 클래스 내에서만(-)");
}
// (non-static)
// class 변수 = new class();
// 변수.method();
public void nonStaticMethod() {
System.out.println("non static method");
System.out.println("객체를 만들어서 호출");
}
}
728x90
반응형
'Language > Java' 카테고리의 다른 글
[JAVA]제어문_반복문 (0) | 2020.10.20 |
---|---|
[java]자리바꾸기 코드.. (0) | 2020.08.03 |
[Java] 연산자 (0) | 2020.07.20 |
[Java] Wrapper Class (0) | 2020.07.20 |
[Java] 데이터TYPE (0) | 2020.07.2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