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anguage

반응형
반응형
Language/Python

[python]함수01

[mtest01] # -*- coding: utf-8 -*- def func01(): print('함수 1 입니다.') def func02(): return '함수 2 입니다.' def func03(): return {1: 'first', 2: 'second'} # 프로그램의 주 진입점 : __가 붙어있으면 내부에서 사용하는 함수구나! if __name__=='__main__': func01() print(func02()) print(func03().get(1)) print(func03()[2]) # 결과값 함수 1 입니다. 함수 2 입니다. first second [mtest02] # -*- coding: utf-8 -*- def func01(x,y): return x + y def func02(x,y..

Language/Python

[python]피보나치수열

피보나치 수는 첫째 및 둘째 항이 1이며 그 뒤의 모든 항은 바로 앞 두 항의 합인 수열이다. # 0, 1, 1, 2, 3, 5, 13, 21, ... n = input('n: ') # 자바에서 scanner의 역할: 입력값을 받아서 실행 a, b = 0, 1 i = 0 while i < int(n): print(a, end=' ') a, b = b, a+b i += 1 # 결과값 n: 7 0 1 1 2 3 5 8

Language/Python

[python] type03_list/tuple/set/dic

# list from array import array # 생성자 사용 a = list() print(a) a.append('1') print(a) a.append(2) print(a) print(a[0]) a[0] = 'one' print(a[0]) print(a) # 그냥 이렇게 넣을 수 없음 append 이용 #a[2] = '3' #print(a) # [] 사용 b = [1,2,3,4,5] print(b) print(type(b)) # b 안에 있는 2랑 4를 더해서 출력 print(b[1]+b[3]) # b 리스트를 거꾸로 출력해주세요 b.reverse() print(b) # b를 정렬해서 출력 b.sort() print(b) # 중첩 c = ['a', 'b', 'c', 'd', 'e', ['f'..

Language/Python

[python]type02_bool, format

# -*- coding:utf-8 -*- # int() : 정수 print(int(True)) print(int(False)) # 2, 8, 16진수 print(int('1111',2)) print(int('77',8)) print(int('ff', 16)) # float() print(float('3.3')) # str() print(str('hello, world!')) print(type(str('hello, world!')))

Language/Python

[python]type01_정수형 문자형

# number : 숫자 # 정수형 a=100 print(a) print(type(a)) print(int(9.8)) print(int(7/6)) print(int('123')) print(type(int('123'))) # int()안에 문자열을 넣었기 때문에 안된다 # 실수형 b=123.4 print(b) print(type(b)) print(float(4)) print(float(5+6)) print(type(float('12.3'))) # 2진수, 8진수, 16진수 c=0b1111 d=0o77 e=0xff print(c) print(d) print(e) # 문자열 # single * 1 a = 'python\'s \nHello, World!' print(a) # single * 3 b = '''p..

emojiyeon
'Language' 카테고리의 글 목록 (12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