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2022년 무역적자
2022년 무역수지 적자가 472억 3000만 달러로 사상 최대를 기록했습니다. 1996년 종전 최대였던 206억 달러 적자보다 규모가 2배 이상 늘어났습니다.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14년 만의 적자입니다.
지난 1일 산업통상자원부가 발표한 '2022년 및 12월 수출입 동향'에 따르면, 지난해 수출은 전년 대비 6.1% 증가한 6839억 5000만달러, 수입은 18.9% 늘어난 7311억 8000만 달러를 기록했습니다. 작년 수출은 2021년에 이어 2년 연속 사상 최대치를 경신했는데, 한국의 세계 수출 순위는 9월까지 누계 기준 6위로 2021년(7위)보다 한 단계 상승했습니다. 하지만 국제 에너지 가격 급등 여파로 수출보다 수입증가가 더 가팔라 이와 같은 결과가 발생한 것으로 보입니다. 3대 에너지원인 원유 가스 석탄 수입액은 전년보다 784억 달러 증가한 1908억 달러에 달했으며, 전체 수입액의 26.1%가 에너지 수입이었습니다.
한국 최대 교역국인 대중 수출(중국으로의 수출)은 지난해 6월 이후 12월까지 7개월 연속 뒷걸음치며 지난해 총 4.4% 감소하였고, 대중 흑자는 12억 5000만달러로 간신히 흑자를 이어갔지만, 전년(242억 8000만 달러) 대비 94.9% 감소했습니다. 동남아국가연합(아세안)으로의 수출은 14.8% 증가했고 미국과 유럽연합(EU)으로의 수출도 각각 14.5%와 7.1% 증가했습니다. 대미 수출은 1098억 2000만 달러로 자동차와 2차 전지 등의 수출 증가에 힘입어 처음으로 1000억 달러를 돌파했습니다.
그러나 작년 12월 기준, 무역수지는 46억 9000만달러 적자로 9개월 연속 적자 행진 중입니다. 이처럼 무역수지가 9개월 이상 적자를 기록한 건 1997년 이후 25년 만이라고 합니다.
2. 2023년 1월 무역 적자
올 1월 초에 발표한 무역적자 수치도 어마어마했는데, 오늘 2월 1일에 발표한 '2023년 1월 수출입 동향'의 상황은 더욱 심각합니다.
지난달 수출과 수입은 전년 대비 각각 16.6%, 2.6% 감소한 462억 7000만 달러, 589억 5000만 달러로 집계됐습니다. 이에 무역수지는 역대 최대 적자인 126억 9000만 달러를 기록했고, 이는 월간 기준으로 종전 최대 적자였던 지난해 8월의(94억 3500만 달러)를 넘어선 수치입니다.

또한 우리나라 최대 수출 품목인 반도채 수출액이 D램, 낸드플래시 등 메모리 반도체 가격 하락 - 수요감소로 작년 동월 대비 44.5% 급감했고, 수입액에서는 지난달 에너지 부문이 158억 달러로 전체의 26.8%를 점했습니다.

EU 및 중동으로의 수출은 근소한 차이로 증가하며 작년 말에 이어 수출이 지속적으로 증가된 반면, 글로벌 인플레이션과 긴축정책 등에 따른 경제성장 둔화의 영향으로 중국과 아세안, 미국, 일본, 중남미 수출은 감소했습니다.

주요 품목 중 자동차, 이차전지, 석유제품 및 선박 등의 품목은 수출이 증가했는데, 특히 자동차와 이차전지 수출은 역대 1월 중 최고 실적을 기록했으며, 선박수출은 고부가선박 선출증가에 힘입어 2개월 연속 증가했습니다. 다만 반도체를 포함한 대다수 주요 품목 수출이 줄어들며 수출이 감소했습니다. 특히 반도체 수출은 전년동원 대비 약 48억 달러가 감소하면서 23년 1월 수출 감소에 크게 영향을 미쳤고, 이 외에 석유, 천연가스와 철강 등 중간재 수출도 감소했습니다.
보다 자세한 사항은 산업통상자원부의 1월 수출입 동향에서 파악할 수 있습니다.
관련기사
[속보] 1월 무역적자 126억弗… 월간 기준 역대 최대
[1보] 새해 첫달부터 수출 감소…무역적자 역대 최대
'Daily story > 이슈투데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한전 가전구매지원사업이란? 기간, 구매/신청, 가능제품 정리! (0) | 2023.02.07 |
---|---|
2023 애플페이 국내 도입, 상용화 간단 정리 (0) | 2023.02.07 |
23년 애플페이 국내 상용화, 애플페이란? 삼성페이와 차이점 (0) | 2023.02.07 |
FOMC 0.25% 금리인상, 나스닥 2% , 인플레 완화 (0) | 2023.02.02 |
실내마스크 해제 장소 간단 정리! 이것만 보면 된다! (0) | 2023.02.02 |